본문 바로가기
통증 및 근골격계/무릎 통증

중년 무릎통증, 병원에서 듣기 전 꼭 알아야 할 상식

by 이코2458 2025. 6. 28.
반응형

무릎이 아파 병원을 가보려 해도
괜히 겁부터 나는 분들 많으시죠?

“혹시 수술하자고 할까?”
“무슨 검사를 하려는 걸까?”
“주사는 맞으면 괜찮은 걸까?”

이런 궁금증, 불안 속에 병원을 더 미루게 됩니다.
하지만 아는 만큼 덜 무섭고, 더 정확한 진료를 받을 수 있어요.
오늘은 무릎 통증으로 병원을 찾기 전, 꼭 알고 가야 할 상식을 정리해 드릴게요.

 

1. 엑스레이와 MRI, 차이를 아시나요?

병원에 가면 가장 먼저 촬영하는 것이 바로 엑스레이(X-ray).
이 검사로는 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릎 통증의 원인은 뼈뿐 아니라
연골, 인대, 활막, 연부 조직에도 있을 수 있어요.
이럴 땐 MRI(자기공명영상)이 필요합니다.
MRI는 뼈 사이 연골이 얼마나 닳았는지, 물이 찬 곳은 없는지,
인대가 손상되었는지까지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즉, 엑스레이는 1차 진단용, MRI는 정확한 원인 파악용입니다.

 

2. 자주 듣는 진단명, 이렇게 이해하세요

① 퇴행성 관절염
→ 나이 들며 연골이 닳는 자연스러운 퇴화 현상
→ 하지만 누구나 겪는 건 아니며, 조기 관리로 진행을 늦출 수 있어요

② 활액막염
→ 관절 내 ‘물주머니’인 활막에 염증이 생겨 붓고 통증이 생김
→ 관절에 물이 찼다는 진단이 여기 해당돼요

③ 반월상연골 파열
→ 무릎 안쪽 쿠션 역할의 연골이 찢어진 상태
→ 중년 이후엔 퇴행성 파열이 많고, 치료는 주사 또는 수술로 나뉘어요

 

3. 무릎 주사, 꼭 나쁜 걸까요?

“주사 맞으면 뼈 녹는다더라…” 이런 얘기, 많이 들어보셨죠?
하지만 관절 주사는 상태에 따라 꼭 필요한 치료입니다.

종류는 크게 3가지예요:

  • 히알루론산 주사 – 윤활액 보충 (초기 퇴행성 관절염)
  • 스테로이드 주사 – 염증, 부기 빠르게 완화
  • 프롤로주사, PDRN 등 – 조직 재생 촉진

단, 스테로이드는 반복적으로 맞으면 관절에 손상이 갈 수 있으므로
의사의 설명과 용도에 맞춰 적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4. 병원에선 어떤 질문을 받을까요?

진료받기 전 이런 내용을 미리 정리해가면 좋아요:

  • 언제부터 아팠는지
  • 걷거나 계단 오를 때 어떤 느낌인지
  • 아침에 뻣뻣함이 있는지
  • 밤에 통증이 더 심한지

이런 정보가 정확한 진단을 위한 실마리가 됩니다.

영상이나 사진만 보고 진단하지 않아요.
의사의 판단은 ‘환자 상태 + 영상소견 + 통증 양상’이 종합되어 이루어집니다.

 

병원은 더 늦기 전에 가야 합니다

2019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퇴행성 무릎 관절염 환자 중 3명 중 1명은
증상이 심해진 후에야 병원을 찾았고

이미 연골 손상이 진행된 상태가 많았다고 해요.

두려움보다 중요한 건 ‘회복의 기회’입니다.
병원에서 설명을 듣기 전, 오늘 이 글로 미리 상식 장착하세요.

무릎 통증이 있어도, 없더라도!
내 관절을 이해하고 지키는 일이 지금부터 시작입니다.

관련된 실전 정보가 더 궁금하시다면,
아래 추천글에서 이어서 확인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