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증 및 근골격계/어깨통증

팔이 아프고 어깨가 무겁다면? 근막통증 증후군 의심해보세요

by 이코2458 2025. 6. 27.
반응형

팔이 저리고, 어깨가 무겁고 뻐근한 느낌.
“이게 근육통일까, 아니면 어깨 관절에 이상이 있는 걸까?”
헷갈릴 때 많으시죠?

특히 중년 이후엔 근육통과 회전근개 질환, 심지어 목 디스크까지
증상이 겹치고 비슷해서 스스로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근막통증 증후군회전근개 질환의 차이를 중심으로
증상의 특징을 비교해드릴게요.
내 통증의 원인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실 거예요.

 

근막통증 증후군 vs 회전근개 질환, 어떻게 다를까?

두 질환은 모두 어깨와 팔에 통증을 유발하지만,
통증의 성격과 유발 원인, 치료 방향이 다릅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보세요.

 

구분 근막통증 증후군 회전근개 질환
통증 위치 어깨 주변, 팔까지 퍼지는 넓은 범위 팔을 들 때 어깨 깊숙한 통증
통증 양상 뻐근하고 무거우며 눌렀을 때 아픔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
유발 요인 스트레스, 피로, 자세 불균형 반복된 어깨 사용, 노화, 외상
진단 특징 눌렀을 때 ‘트리거포인트’에서 통증 재현 팔을 위로 들 때 통증 증가, 야간통 동반
치료 방향 도수치료, 스트레칭, 온찜질, 스트레스 관리 주사치료, 물리치료, 관절운동 또는 수술

 

근막통증 증후군은 이런 특징이 있어요

근막통증 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은
근육 속에 생긴 ‘뭉침점(트리거 포인트)’이 원인이며,
누르면 다른 부위로 통증이 번지는 방사통이 나타나는 게 특징입니다.

스트레스나 수면 부족, 잘못된 자세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고,
MRI나 엑스레이로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주로 진찰과 촉진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통증이 있을 땐 단순한 근육통으로 넘기기보단
이런 점을 체크해보면 구분에 도움이 됩니다.

 

회전근개 질환이라면 이런 증상을 보여요

반면, 회전근개 질환은 어깨 관절 속에 위치한 4개의 작은 근육(회전근개)에
염증이나 파열이 생긴 경우를 말해요.

팔을 들어 올릴 때 통증이 심해지고,
밤에 누우면 통증이 심해지는 야간통이 자주 나타납니다.
팔을 위로 들어 올릴 수 없는 경우, 회전근개 파열 가능성이 높습니다.

초음파나 MRI 등 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며,
방치할 경우 통증은 물론, 팔의 움직임도 제한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헷갈린다면, 이런 질문을 해보세요

내 통증이 근막통인지, 회전근개 문제인지 구분이 어려울 땐
병원에서 이렇게 질문해보세요:

  • “팔을 올릴 때 더 아픈가요, 가만히 있어도 아픈가요?”
  • “특정한 자세에서 심해지나요, 눌렀을 때 아픈가요?”
  • “밤에 통증이 심해서 깨시나요?”



이런 질문을 통해 의료진은 보다 정확한 감별 진단을 내릴 수 있고,
나에게 맞는 치료 방향도 빨리 찾을 수 있습니다.

 

모호한 통증일수록 조기 구별이 중요합니다

팔이 저리거나 어깨가 뻐근하다고 무조건 쉬기만 해서는
회복이 늦어질 수 있어요.

비슷해 보이는 증상이라도 원인이 전혀 다를 수 있으니,
오늘 소개해드린 차이를 잘 기억해두시고
필요하다면 빠르게 진료를 받아보세요.

관련된 회복 운동이나 관리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추천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여러분의 회복을 항상 응원합니다.

 

반응형